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챗GPT어플 다운받는 방법 등 자세한 정보

by rich4everjb 2023. 2. 19.
반응형


챗gpt어플에 관한 관심이 뜨겁다. 요즘 이곳 저곳에서 챗gpt어플에 관한 이야기가 들린다. 우선, 챗GPT가 무엇인지 부터 설명을 해야겠다. 챗GPT는  챗3.5를 기반으로 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이며, 간단한 회원가입 후 무료 혹은 유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챗GPT어플은 사용자와 주고받는 대화에서 질문에 답하도록 설계된 언어모델이며, 오픈AI는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챗GPT가 대화 형식으로 추가적인 질문에 답하고 실수를 인정하며 정확하지 않은 전제에 대해서는 이의를 제기하고 부적절한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챗GPT(ChatGPT)'의 개발사 오픈AI(OpenAI)에 10억 달러(약 1조 2,400억 원)를 투자한 데 이어 추가로 총 100억 달러(약 12조 4,000억 원)의 투자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챗GPT를 오피스(Office) 제품과 검색엔진 빙(Bing)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러한 기능 중 일부는 빠르면 2023년 3월에 출시될 수도 있다고 한다.


챗GPT어플은 가능한 한 답변을 제공하려고 노력하나, 정치색, 혐오 발언, 선정성 등 사회통념상 논란이나 거부감이 들어간 답변은 거부하거나, 윤리적인 규범에 맞춰 답변한다고 한다. 서비스 초기에는 가끔 이에 벗어난 답변도 있었으나 대체로 무난하게 답변하는 편이라고 한다. 다만 직접적인 답변을 하지 않는 편이지 정치색 등을 의도하지 않았다할지라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경우는 종종 있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간단한 개념에 대한 설명을 요청할 수 있으며(ex. 애플워치 울트라가 뭐야?), 특정 개념들에 대한 비교, 공통점, 차이점 등을 요청할 수도 있다고한다.(ex. 맥북과 LG그램의 차이점이 뭐야?)



챗GPT어플이 가진 잠재력은 무시하지 못할 수준인데,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의 선다 피차이 CEO가 직접 언급할 정도로 경계하고 있을 정도다. 민간에서는 물론 구글을 비롯한 전세계 빅테크 기업들이 앞다퉈 뛰어드는  챗GPT어플 기술이 되었다고 한다.



챗GPT어플은 데이터가 더 쌓여 한계를 극복한다면 사용자가 직접 검색할 대상의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현 검색 문법을 아예 뒤바꾸어 장기적으로는 구글을 비롯한 모든 검색 엔진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일 수 있다고 한다. 이미 10억 달러를 투자했던 마이크로소프트가 아예 2023년 1월 OpenAI와 100억 달러를 투자하고 파트너쉽을 맺었을 정도로 대화형 인공지능이나 인공지능 검색 엔진이 가진 잠재력을 높게 판단하고, 이후 내달 안에 Microsoft Bing과 오피스 프로그램 안에 ChatGPT를 심어넣겠다고 발표하며 구글을 향해 ''The Race Start"라며 선전포고를 하면서 구글에게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이에 대항하듯 구글의 경우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인 LaMDA를 계승한 Google Bard 및 수십 종의 인공지능 상품을 연내 출시할 계획이라고 하며 #, 자회사인 딥마인드에서도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인 Sparrow를 준비 중이라고 한다. 그러다 2023년 2월 3일에는 OpenAI의 전 연구자가 설립한 안트로픽에 3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안트로픽은 ChatGPT와 UI 및 성능이 유사한 Claude라는 대화형 인공지능이 클로즈베타 중에 있다.

앞서 구글과 메타에서 각각 비슷한 대화형 인공지능인 LaMDA와 블랜더봇3를 출시하기는 했지만 테이(인공지능)의 사례 때문에 상당히 정제된 답변만 한다는 점과 미국에서만 이용가능하다는 점 등의 폐쇄성으로 인해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결국 ChatGPT의 성공 때문인지 구글, 메타 및 애플 등의 빅테크에서는 자사의 인공지능 윤리 기준을 대폭 완화하여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챗GPT어플에 대해서는 조심해야한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챗GPT어플을 검색했다가 유사 앱을 내려받아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오픈AI가 개발한 챗GPT는 공식 사이트를 통해 접속해야 하고 아직 앱 버전은 나오지 않았다. 이름과 로고가 유사한 앱이 모바일 스토어에 다수 올라와 오픈AI의 앱인 줄 알고 착각한 소비자들이 많은 것이다.

15일 구글 앱스토어에 ‘Chat GPT’를 검색해보면 ‘ChatGPT-GPT AI와 채팅’ ‘Chat GPT-GPT based AI Chat’ 등의 앱이 검색된다. 그 중 하나를 내려받으면 한 달에 4.99달러, 매달 8.99달러, 영구 소장은 59.99달러를 지불하라고 나온다. 이모씨는 “구글 앱스토어에 챗GPT를 검색해 ‘Chat with AI’라는 모바일 앱을 내려받았더니 신분 확인용으로 신용카드 정보를 요구하더라”며 “가입을 중단하기는 했지만 깜빡 속을 뻔 했다”고 말했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3/02/15/UOSD3XWSXNAHLOZG55KALQ3SYI/

“챗GPT 앱 조심하세요”… 결제 유도하는 사기 극성

챗GPT 앱 조심하세요 결제 유도하는 사기 극성 Chat GPT 검색하면 유사 앱 수두룩 결제 유도하고 작동 아예 안돼 오픈AI의 챗GPT는 앱 없어

biz.chosun.com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앱스토어에도 가짜 챗GPT어플이 생겼다. 테크크런치는 미국 앱스토어에 ‘CHATGPT CHAT GPT AI with GPT-3′라는 이름의 앱이 올라왔고, 10만회 이상 다운로드되면서 생산성 카테고리 내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다. 다운로드는 무료지만 AI 봇과 무제한 채팅을 하려면 매주 7.99달러, 매달 49.99달러를 결제하도록 했다. 해당 앱은 결제만 유도할 뿐 로딩 화면을 넘지 못해 실제로 앱이 AI 챗봇 기능을 하는지는 알 수 없다고 테크크런치는 전했다. 현재는 앱이 삭제된 상태다.

단순히 소비자들의 결제를 유도하는 것 뿐만 아니라 데이터 유출 등의 위험성도 지적된다. CNN은 ‘Talk GPT’라는 이름의 가짜 앱이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중국 업체에 전송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해커들이 가짜 앱을 여러개 올려놓고 이를 내려받은 사람의 데이터를 빼간다는 것이다.



한편, 오픈AI도 지난 10일 유료 버전인 ‘챗GPT 플러스’를 출시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오픈AI 웹사이트를 통해 접속해야 한다. 월 정액제로 한 달 이용료는 20달러(2만5000원)이며, 국내에서도 카드 결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중요한 점은 챗GPT는 현재 웹사이트를 통해서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챗GPT어플은 세상에 출시되지 않았으며 앱스토어에 있는 모든 챗GPT어플은 사기이다. 그러니 모두 조심하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아래 챗GPT 공식 웹사이트 링크를 공유해보겠다.

https://openai.com/blog/chatgpt/

ChatGPT: Optimizing Language Models for Dialogue

We’ve trained a model called ChatGPT which interacts in a conversational way. The dialogue format makes it possible for ChatGPT to answer followup questions, admit its mistakes, challenge incorrect premises, and reject inappropriate requests. ChatGPT is

openai.com

반응형